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데이터엔지니어링
- vader감정분석
- 데이터리안웨비나
- 블로그성장일기
- Python
- 회귀분석 프로젝트
- 누적조회수1만명
- ai관련 직업
- 파이썬기초
- 데이터리안월간웨비나
- 데이터리안
- 블로그성장글
- 판다스
- 데이터 엔지니어
- ml 실전 프로젝트
- 데이터엔지니어링배우기
- 머신러닝 회귀 모델
- 데이터직무
- 데이터분석
- 데이터분석가
- 데이터엔지니어
- 학생 성적 예측
- python 데이터 분석
- 데이터사이언티스트
- 파이썬오류
- 데이터 분석가
- ridge 회귀
- 데이터엔지니어링시작하기
- kaggle 프로젝트
- 파이썬
Archives
- Today
- Total
데이터 분석가 Damla's blog
[기초]머신러닝과 딥러닝 비교하기 본문
머신러닝(Machine Learning)과 딥러닝(Deep Learning)을 비교해보았다.
- 머신러닝은 딥러닝을 포함하는 큰 개념이다.
- 머신러닝은 Y(결과값)이 숫자 라면 회귀문제이고, 범주(ex. 성공 | 실패)과 같이 구분된 그룹이라면 분류 문제인 것과 같이, 도출하고자 하는 결과값의 특성에 따라 문제를 해결할 모델을 정하기만 하면 된다.
- 반면에 딥러닝은 입력층과 출력층 외에도 그 안의 은닉층(node)의 수, 가중치의 수, 학습 횟수, Learning Rate, 손실함수와 같이 매우 많은 학습 요소들을 모델을 설정하는 작업자가 선택해야한다.
그 외의 요소들을 표로 비교 하면, 아래와 같다
구분 | 머신러닝(ML) | 딥러닝(DL) |
정의 | 데이터에서 패턴을 학습하여 예측하는 알고리즘들의 결합을 말한다. | 인공신경(ANN)을 활용하여 데이터에서 특징을 학습한다 |
데이터 의존성 | 적은 양의 데이터로 학습이 가능하다 | 대량의 데이터를 필요로 한다 |
특징 추출 (Feature Engineering) |
사람이 직접 주요 특징을 선정해야한다 | 모델이 자동으로 중요한 특징을 학습한다 |
연산량 | 적은 양의 데이터로도 가능한 만큼, 비교적 적으며 CPU로도 학습할 수 있다. | 계산량이 많이 필요한 경우가 많아서, GPU 사용이 필요하다 |
대표 알고리즘 | 선형 회구, 로지스틱 회귀, 랜덤 포레스트 | CNN, RNN, LSTM, 트랜스포머 등 신경망 기반 모델 |
<부록> 지도학습과 비지도학습 비교하기
- 지도학습 : 학습데이터에 문제와 정답을 포함하여 학습을 진행하는 경우
- 예를 들어, 키가 크면 몸무게도 많이 나간다. 라는 양의 상관관계를 설명하고자 할 때,
- 이것은 지도학습으로 몸무게나 키정보를 통해 예측이 가능하다.
- 키와 몸무게의 상관관계를 학습하여 몸무게나 키에 따른 다른 정보를 예측할 수 있다. 이는 학습데이터에 키와 몸무게에 대한 정보가 같이 있기 때문이다.
- 이것은 지도학습으로 몸무게나 키정보를 통해 예측이 가능하다.
- 예를 들어, 키가 크면 몸무게도 많이 나간다. 라는 양의 상관관계를 설명하고자 할 때,
- 비지도학습 : 학습데이터에 문제 만 있는 경우
- 반면에 비지도 학습은 따로 군집분석(Clustering)과 같은 정답 없이 데이터의 패턴이나 구조를 찾는 방식을 말한다.
- 예를 들어, 고객의 세그먼트를 나누거나, 이미지를 분류하는 등의 그룹을 나누는 것을 비지도학습이라고 한다.
- 그 외 예시는 아래와 같다.
- 차원 축소 Dinemsionality Reduction (중요 특징만 남기고 불필요한 차원을 줄이는 것)
- 이상 탐지 Anomaly Detection (보이스피싱 (갑자기 통장의 전액을 출금하거나 고액의 대출을 받는 등)
- 연관 규칙 학습 Association Rule Learning (귀저기를 사면 맥주를 구매한다)
- 그 외 예시는 아래와 같다.
- 예를 들어, 고객의 세그먼트를 나누거나, 이미지를 분류하는 등의 그룹을 나누는 것을 비지도학습이라고 한다.
- 반면에 비지도 학습은 따로 군집분석(Clustering)과 같은 정답 없이 데이터의 패턴이나 구조를 찾는 방식을 말한다.
- 강화학습 : 학습데이터가 없는 경우
- 지도 & 비지도 학습과는 달리, 학습데이터 없이 모델이 행동을 반복하거나 혹은 데이터를 수집하여 더나은 결과값을 가지기 위해 강화하는 것을 말한다.
'파이썬(Python) > ML & Deep Learn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oject] 머신러닝 회귀 모델 활용 학생 성적 예측 사례 : Kaggle 교육 데이터를 중심으로 (0) | 2025.04.12 |
---|---|
[Project] 텍스트 마이닝으로 본 고객 리뷰 분석 사례: Delivered Korea를 중심으로 (0) | 2025.04.12 |
[기초] Scalar, Vector, Metrix, Tensor 개념과 차이점 (0) | 2025.02.02 |
[데이터 타입] 데이터 타입 뒤 숫자의 의미 (float16, int32) (0) | 2025.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