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서비스분석기법
- 머신러닝 회귀 모델
- 데이터리안
- 데이터엔지니어링시작하기
- 회귀분석 프로젝트
- python 데이터 분석
- 데이터엔지니어
- 파이썬
- 데이터리안월간웨비나
- 데이터엔지니어링배우기
- ml 실전 프로젝트
- ai관련 직업
- vader감정분석
- 판다스
- 데이터 엔지니어
- 데이터분석기법
- 데이터분석가
- 데이터직무
- 파이썬기초
- ridge 회귀
- 학생 성적 예측
- 데이터리안웨비나
- 데이터분석
- kaggle 프로젝트
- Python
- 데이터엔지니어링
- 파이썬오류
- 데이터사이언티스트
- 데이터 분석가
- Growth_Hacking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52)
데이터 분석가 Damla's blog
오늘은 티스토리를 만든 후 누적 조회수가 1만명을 넘어서 기념으로 글을 쓰고자 한다. 1. 숫자로 보는 내 블로그2. 가장 많은 조회수를 기록한 글이 무엇일까?3. 1만명을 넘어가면서 내가 남겼던 기록들에 대한 회고 에 대한 내용을 다룰 예정이다.1. 숫자로 보는 내 블로그운영 기간 : 2022년도 부터 ~ 지금까지 (년으로 3년간 운영중이다!)지금까지 작성한 글 수 : 42개내가 다루었던 주제들 :데이터 분석용 툴에 대한 TIL형식의 글 : 20개파이썬, SQL, 통계데이터 직무 관련 생각 및 정보 : 22개업무를 하면서 느낀 생각 혹은 개인 회고세미나 후기 2. 가장 많은 조회수를 기록한 글이 무엇일까?[파이썬_오류사전] str object is not callable내가 쓴 전체 43개의 글 중에서..

1. [기본 정의] 데이터 타입 설명 2. [본문] 비트의 의미와 크기에 따른 장단점1. [기본 정의] 데이터 타입 설명파이썬에서 기본적으로 활용하는 데이터 타입이 있음. 대표적인 타입으로는 아래 4개가 있음 - Boolean (bool) : 논리형 True | False 값으로 나타낸 데이터 형식- String (str) : 문자열 (문자일 경우 따옴표로 데이터 값이 출력됨)- Float (float) : 부동소수점 (Floating point, 소수점이하의 값을 포함한 형태) _ ex) 1.2345687- Integer (int) : 정수형 (integer, 정수형태로 소수점이하 값을 포함하지 않는 형태) _ ex) 12345- Complex(complex) : 복소수 표현 (complex, 실수..

파이썬을 하다보면 가장 기초로 만나게되는 친구들이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이다. 각각의 정의와 특징, 생성법을 아주 간단하게 작성해 보려고 한다. 작성하는 목적은 나중에 내가 잊었을 때 복기 하기위함이다. 1. List (리스트)생성법 : list_name = [1,2,4,"a","b"]생성할 리스트명 = 대괄호 (Square Brackets)으로 그 안의 데이터를 포함한다.2. tuple (튜플)생성법 : tuple_name = (1,2,6,7,8,"a","E")생성할 튜플명 = 소괄호(Round Brackets)으로 그안의 데이터를 포함한다.[잠깐!] 그렇다면 튜플과 리스트는 무엇이 다른 것일까?리스트는 다양한 파이썬 내장함수들(.isupper, .replace., .capitalize .etc)을 ..
나는 데이터 분석가이다. 배우고자 하는 기획가 있다면 우선 신청해보는 편인데 지금은 데이터 분석가에서 데이터 엔지니어나 AI쪽으로 직무를 확장시켜 볼 생각에 다양한 방면으로 교육을 찾고 들으며 성장을 위해 고군분투 중이다. 그러기 위해 내가 자주 사용하는 교육 사이트를 추천해보려고 한다. 아래 사이트들은 우선 무료 강의들을 모두 포함하고 있고, 유료강의도 많이 (3개 이상 씩) 수강해본 경험을 바탕으로 작성하였다. 등록해 놓고 자주 사용하는 교육 사이트는 아래 5개와 같다1. 인프런2. K-mooc3. 이벤터스4. 노마드 코드5. 스파르타코딩클럽6. Youtube위 사이트를 하나 하나 순서대로 이야기 해보겠다1. 인프런 (무료 | 유료)개발자나 디자이너 혹은 데이터 관련된 직무 종사라면 누구라도 들어봤..

데이터리안에서 진행한 2025년의 첫번째 세미나 후기를 작성해보려고 한다. 이번 주제는 "면접으로 직행하는 데이터 분석 포트폴리오" 였다. 포트폴리오는 취업을 준비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든 혹은 프리랜서라도 마찬가지로 꼭 한번 고민에 빠지는 주제라서 다른 분들에게도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하여 공유하려고 한다. 웨비나는 약 2시간 정도 진행되며, 필요할 경우 데이터리안 홈페이지에서 다시 보기도 가능하니 참고하시길! (참고_다시보기에는 두 연사님의 Q&A는 확인할 수 없음) 나는 세미나 당일 오전에 참여 마감 전 급하게 확인해서 신청했고 다행히도 문제 없이 들을 수 있었다. 매번 투자하는 시간 보다 유익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지라 이번에도 믿고 들었는데 이번 연사 분들 모두 전략적으로 취업을 위한 포트폴리오를 준..
최근 출판되는 유투버들이 쓴 자기계발서에서는 하나 같이 글을 써야 한다고, 기록을 해야한다고 말을 한다. 글을 읽기 전에도 나는 기록의 중요성을 계속해서 느끼고, 듣고 있었고, 그러기 위해 노력 했다. 실천을 위한 행동으로 3주전에 매주 목요일에 글을 써서 올리겠다고 다짐을 했지만, 첫번째 주에만 성공 했다. 그 이유를 복기하며 쓰기 어려운 이유 3가지를 써보려고 한다. 1. 아무도 보지 않는 글이 될까봐 두려움 2. 매주 목요일에 글을 쓸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지 못함3. 좋은 주제를 찾으려고 하다가 쓰지 못함 1번과 3번은 연결되는 이유이다.지금까지 장기간 꽤 몇개의 글을 올렸지만, 꾸준히 조회되는 글은 1~5개 정도 이고, 대부분의 글들은 조회수가 0인 체로 남아있다. 이러한 상황이 된 이유는, 내..
지금 부터 있었으면 했던 서비스를 만들어 보려고 한다, 아직 출시전이라서 혹시나 하는 마음에 내가 만들고자 하는 서비스의 내용을 아직은 모두 밝히지 않겠지만, 내가 무엇을 하려고 하는 지 어떻게 만들었는지에 대한 과정을 공유해보려고 한다. 오늘은 아래 2가지를 해보았다.1. 서비스명 만들기 2. 서비스의 이미지 생성하기 모두 GPT의 도움을 받았다. 매번 GPT를 쓰면서 느끼지만, Chat GPT가 지금까지 생각하지 못 했던 독창적인 응답을 하는 것은 아니다. 단지 질문을 하면서 혼자서면 생각했던 내용을 정리할 수 있게 되고, 그 정리한 생각을 바탕으로 누락없이 정리된 응답을 보면서 원하는 답을 찾을 수 있게 된다. 나는 GPT의 도움을 받아서, 서비스 기획 부터 앱 출시까지 모두 해보려고한다. 그런 ..
데이터 분석가로서 1년차의 기간을 지나 2년차가 된나는 작년엔 거의 매일 '내가 데이터 분석가가로서 충분할까?'하는 생각을 하고 살았다. 자신이 없었고 힘들었다. 그만 둘까 생각하면서 힘들때 보는 영상을 찾아보고 나를 달래곤 했다. 하지만 지금의 나는(몇 개월 전에 2년이 되었다.) 친구들과 대화를 할 때도 간혹 혼자 가만히 생각을 할 때, 직업병이다 싶은 습관이 생겼다. 그것은 그냥 한 말이라도 숫자로 바꿔서 생각해 보는 것이다. 사례를 들어보면, 어느 날 친구의 차를 타고 이동하고 있었는 데 친구가, 저기 앞에 보이는 차와 자신의 차의 크기가 사실 거의 차이나지 않는 데 내 차는 왜이렇게 작아보이지 라고 했다. 이전의 나였다면, "그렇네? 왜 네 차가 더 작아보이지?"라며 넘겼겠지만,지금의 나는 "친..
최근에 도서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새로운 책 종류는 브런치를 비롯한, 다양한 블로그에서 몇 만명의 팔로워를 둔 유저들이 쓴 책이다. 사실 나도 최근에 다시 책을 읽기 시작한 시점부터 내 이름으로 된 책을 쓰고 싶다는 꿈을 꾸기 시작 했다. 그들이 하는 이야기들은 거창한 이야기가 아니다. 일을 하면서 느낀점, 배운점들을 누구든지 가볍게 읽을 수 있도록 잘 써놓은 이야기였다. 그렇기 때문에 나도 매일 겪고 일을 하고 있으니 나도 쓸 수 있겠다 하고 생각 했다. 그러기를 3년이라는 시간이 지났고, 아직 내 블로그에는 20개 미만의 글이 있고, 나는 주기적으로 글을 올리지 않았다. 내 블로그에 방문하는 사람도 있지만 나에 대한 이야기 보다는 내가 올린 기술적인 내용이 대부분의 조회수를 올리고 있다. 회사에 출..
나는 내가 뛸 수 있을 때, 나간다. 아침에 눈떠서, 생상적인 일을 바로 시작하지 않고, TV를 보고 있다가도 일어나서 나간다. 나는 타고나기를 혹은 계속 성실하게 살았다. 한 가지 일을 시작하면, 제한 없이 하루종일 시간을 쓰고 밤늦게 까지 하다가 잠에 들고 다시 일어나서 일하기를 반복했다. 그렇게 하는 게 일을 하는 방법인 줄 알았고, 그렇게 일해야지만 내가 열심히 일을 하는 거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그때의 나는 내가 70,80세까지 일할 거라는 사실을 전혀 생각하지 않았다. 젋었을 때, 할 수 있을 때, 일을 해야 한다고만 생각했지 계속 일을 할 나는 전혀 생각하지 않았다. 하지만 그때와 몇년이 지난 나는 오히려 조금씩 벨런스를 찾으려고 하고, 하루종일 그리고 평일 내내 계속 일을 했던 나에게 최소..